2002년 수마트라 지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02년 수마트라 지진은 인도네시아 수마트라 섬 인근에서 발생한 지진이다. 이 지진은 인도-오스트레일리아 판과 유라시아 판의 섭입대 경계에서 발생했으며, 2004년 인도양 지진해일과 2005년 니아스-시멀루에이 지진의 단층 파열 영역 사이에서 일어났다. 2002년 지진은 2004년 지진의 전진으로 여겨지며, 시멀루에이 섬에서 건물 파손과 인명 피해를 발생시켰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2년 인도네시아 - 2002년 발리 폭탄 테러
2002년 발리 폭탄 테러는 2002년 10월 12일 인도네시아 발리 꾸따 지역의 나이트클럽과 미국 영사관에서 발생한 일련의 폭탄 테러 사건으로, 제마 이슬라미야에 의해 자행되었으며 202명의 사망자와 수백 명의 부상자를 발생시켜 국제적인 공분을 야기했다. - 2002년 인도네시아 - 2002년 동남아시아 축구 연맹 선수권 대회
2002년 동남아시아 축구 연맹 선수권 대회는 인도네시아와 싱가포르에서 열렸으며, 태국이 결승에서 인도네시아를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 수마트라섬의 역사 - 바탁족
바탁족은 인도네시아 수마트라 섬 북부에 거주하며 다양한 언어와 문화를 공유하고, 힌두교, 불교, 토착 신앙을 융합한 종교를 믿었으며, 가부장적인 씨족 사회를 이루고 농업과 사냥에 종사하다가 근대 이후 기독교와 이슬람교로 개종하는 경우가 많다. - 수마트라섬의 역사 - 조호르 술탄국
조호르 술탄국은 15세기 말 말라카 해협에서 건국된 말레이 왕국으로, 말라카 왕국의 계승을 자처하며 성장했으나, 아체 술탄국, 포르투갈, 네덜란드, 잠비 왕국 등과의 전쟁과 내부 권력 투쟁으로 혼란을 겪으며 네덜란드와 영국의 영향력 아래 놓이다가 말라야 연방 독립과 함께 독립을 선언하고 말레이시아 연방의 조호르주가 되었으며, 술탄의 세습은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2002년 수마트라 지진 | |
---|---|
지진 개요 | |
발생 시각 (UTC) | 2002년 11월 2일 01시 26분 10초 |
발생 시각 (현지 시각) | 2002년 11월 2일 08시 26분 |
진앙 | 인도네시아 수마트라섬 |
깊이 | 30 km |
규모 | 7.4 모멘트 규모 |
최대 진도 지역 | 시멀루에이섬 |
USGS 링크 | usp000bfuz |
ISC 링크 | 6121703 |
피해 | |
사망자 | 3명 |
부상자 | 65명 |
영향 지역 | 수마트라, 인도네시아 |
2. 배경
수마트라섬은 인도-오스트레일리아 판과 유라시아판이 만나는 수렴 경계에 위치해 있다. 두 판 사이의 섭입은 수마트라섬 근처에서 매우 비스듬하게 일어나며, 순다 메가스러스트라는 섭입대와 대수마트라 단층을 따라 판의 이동이 일어난다. 섭입대 경계면에서 발생하는 주요 미끄러짐 사건은 일반적으로 해구형지진이다.[7]
역사적으로 1797년, 1833년, 1861년, 2004년, 2005년, 2007년에 큰 규모의 해구형 지진이 발생했으며, 이 중 대부분은 파괴적인 쓰나미를 동반했다. 1935년, 1984년, 2000년 및 2002년에도 비교적 작은 규모의 해구형 지진이 발생했다.[7][2]
2. 1. 순다 메가스러스트
수마트라섬은 인도-오스트레일리아 판과 유라시아판이 만나는 섭입대 경계에 있다. 두 판 사이의 섭입은 수마트라섬 근처에서 급한 경사로 내려가며, 순다 메가스러스트라는 섭입대를 따라 거의 순수한 수직단층이, 대수마트라 단층을 따라 거의 순수한 주향이동단층이 있는 수직과 수평이동이 동시에 있는 사교단층이다. 섭입대 경계를 따라 발생하는 거대한 단층 미끄러짐은 대부분 해구형지진으로 발생한다.[7]
역사적으로 1797년, 1833년, 1861년, 2004년, 2005년, 2007년에 거대한 해구형지진이 발생했으며 대부분 지진과 함께 파괴적인 쓰나미도 발생했다. 그 외에도 1935년, 1984년, 2000년, 2002년에도 위에보다는 작은 해구형지진이 대지진의 주기 중간 단층 미끄러짐 지역 사이 틈새에서 일어나기도 했다.[7][2]
2. 2. 대수마트라 단층
수마트라섬은 인도-오스트레일리아 판과 유라시아판이 만나 수렴하는 섭입대 경계에 있다. 두 판 사이의 섭입은 수마트라섬 근처에서 급한 경사로 내려가며, 순다 메가스러스트라는 섭입대를 따라 거의 순수한 수직단층이, 대수마트라 단층을 따라 거의 순수한 주향이동단층이 있는 수직과 수평이동이 동시에 있는 사교단층이다. 섭입대 경계를 따라 발생하는 거대한 단층 미끄러짐은 대부분 해구형지진으로 발생한다.[7]역사적으로 거대한 해구형지진이 발생했으며, 대부분 지진과 함께 파괴적인 쓰나미도 발생했다. 다음은 주요 해구형 지진 목록이다.
위에 나온 지진들 외에도 1935년, 1984년, 2000년, 2002년에도 위에보다는 작은 해구형지진이 대지진의 주기 중간 단층 미끄러짐 지역 사이 틈새에서 일어나기도 했다.[7]
2. 3. 2002년 지진의 위치
2002년 지진의 단층 파열 지역은 2004년과 2005년 지진의 단층 파열 영역 사이 경계에 있으며, 미소산호의 융기 패턴으로 확인되었다. 이 지진은 2004년 진원지와 매우 근접하여, 연구자들은 2004년 지진의 전진이 2002년 지진이라고 파악한다.[8] 시멀루에이섬 인근의 산호초 연구 결과, 2004년 지진으로 발생한 융기와는 별개로 2002년에도 지진으로 인한 융기가 관측되었다.[9] 2004년 지진의 레일리파 전파를 모델링하기 위해 경험적 그린 함수 분석을 사용했는데, 이때 2002년 지진파의 파형이 사용되었다.[10]3. 지진 특성
2002년 지진의 파열 지역은 2004년과 2005년 지진의 파열 지역 경계에 있으며, 이는 산호 미소환초의 융기 패턴으로 확인되었다.[3] 이 지진은 2004년 진원지와 매우 근접하여, 연구자들은 2004년 지진의 전진으로 파악한다.[8] 시멀루에이섬 인근의 산호초 연구 결과, 2004년 지진으로 발생한 융기와는 별개로 2002년에도 지진으로 발생한 융기가 관측되었다.[9]
3. 1. 2004년 지진과의 관계
2002년 지진의 단층 파열 지역은 2004년과 2005년 지진의 단층 파열 영역 사이 경계에 있으며, 미소산호의 융기 패턴으로 확인되었다. 이 지진은 2004년 진원지와 매우 근접하여, 연구자들은 2004년 지진의 전진이 2002년 지진이라고 파악한다.[8] 시멀루에이섬 인근의 산호초 연구 결과, 2004년 지진으로 발생한 융기와는 별개로 2002년에도 지진으로 발생한 융기가 관측되었다.[9] 2002년 지진파의 파형은 경험적 그린 함수 분석을 통해 2004년 지진의 레일리파 전파를 모델링하는 데 사용되었다.[10]3. 2. 산호초 연구
2002년 지진의 단층 파열 지역은 2004년과 2005년 지진의 단층 파열 영역 사이 경계에 있으며, 미소산호의 융기 패턴으로 확인되었다. 이 지진은 2004년 진원지와 매우 근접하여, 연구자들은 2004년 지진의 전진이 2002년 지진이라고 파악한다.[8] 시믈루에 섬 인근의 산호초 연구 결과, 2004년 지진으로 발생한 융기와는 별개로 2002년에도 지진으로 발생한 융기가 관측되었다.[9] 2002년 지진파의 파형은 경험적 그린 함수 분석을 통해 2004년 지진의 레일리파 전파를 모델링하는 데 사용되었다.[10]3. 3. 경험적 그린 함수 분석
2002년 지진의 단층 파열 지역은 미소산호의 융기 패턴으로 결정된 2004년과 2005년 지진의 단층 파열 영역 사이 경계에 있다. 이 지진은 2004년 진원지와 매우 근접하며, 연구자들은 2004년 지진의 전진이 2002년 지진이라고 파악한다.[8] 시멀루에이섬 인근의 산호초를 연구한 결과 2004년 지진으로 발생한 융기와는 별개로 2002년에도 지진으로 발생한 융기가 보였다.[9] 경험적 그린 함수 분석을 사용해 2004년 지진의 레일리파의 전파를 모델링하는데 2002년 지진파의 파형을 사용했다.[10]4. 피해
지진으로 시멀루에이섬에서 건물 994채가 파손되었으며, 3명이 사망하고 65명이 부상을 입었다.[6] 아체 주 수마트라의 타팍투안(VI (강함)), 뫼라보 및 싱킬 (V (보통))에서도 지진이 감지되었다.[1]
4. 1. 인도네시아 아체 주
지진으로 시멀루에이섬에서 건물 994채가 파손되었으며, 3명이 사망하고 65명이 부상을 입는 등 가장 큰 피해가 발생했다.[6] 아체 주 수마트라의 타팍투안(VI (강함)), 뫼라보 및 싱킬 (V (보통))에서도 지진이 감지되었다.[1]참조
[1]
웹사이트
Comments for the Significant Earthquake
http://www.ngdc.noaa[...]
2010-11-26
[2]
논문
Source parameters of the great Sumatran megathrust earthquakes of 1797 and 1833 inferred from coral microatolls
http://www.gps.calte[...]
2009-10-24
[3]
논문
The 2007 Pisco, Peru, earthquake (M8.0): seismology and geodesy
[4]
웹사이트
The Sunda megathrust: past, present and future
http://www.gps.calte[...]
2010-11-29
[5]
논문
Rupture Properties of the Giant Sumatra Earthquake Imaged by Empirical Green's Function Analysis
http://mahabghodss.n[...]
2010-11-29
[6]
웹인용
Comments for the Significant Earthquake
http://www.ngdc.noaa[...]
2010-11-26
[7]
저널 인용
Source parameters of the great Sumatran megathrust earthquakes of 1797 and 1833 inferred from coral microatolls
http://www.gps.calte[...]
2009-10-24
[8]
저널 인용
The 2007 Pisco, Peru, earthquake (M8.0): seismology and geodesy
[9]
웹인용
The Sunda megathrust: past, present and future
http://www.gps.calte[...]
2010-11-29
[10]
저널 인용
Rupture Properties of the Giant Sumatra Earthquake Imaged by Empirical Green's Function Analysis
http://mahabghodss.n[...]
2010-11-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